검색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부24

이전페이지

외교부

기관정보

업무계획 다운로드

대한민국의 외교와 관련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외교정책의 수립 및 시행, 경제외교 및 국제경제협력 외교, 조약 및 그 밖의 국제협정, 재외 동포 정책의 수립 등을 목표로 합니다.

외교부-조직도, 직원검색, 정원, 예산, 홈페이지 등 기본적인 정보 제공
조직도
직원검색
장관 박진
차관 제1차관 : 장호진 / 제2차관 : 오영주
홈페이지 http://www.mofa.go.kr 모바일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8길 60 / 우 03172 지도
대표전화 02-2100-2114 / (야간) 7000,7001
박진

박진

장관

  • 경력

    2022. 05. 외교부장관
    2022. 04.~2022. 04.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한미정책협의 대표단장
    2022. 01.~2022. 03. 제20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글로벌비전위원장
    2020. 09.~현재 국회 한미 의회외교포럼 공동회장
    2020. 07.~현재 국회 글로벌외교안보포럼 대표의원
    2020. 07.~현재 국회 미래정책연구회 공동대표의원
    2020. 07.~현재 국민의힘 외교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
    2020. 07. 제21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2020. 05.~현재 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2017. 02.~2020. 02. 한미협회 회장
    2014 ~ 2021.12. 우드로우윌슨센터 글로벌 펠로우
    2013. 03.~2020. 05.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유엔평화학과 석좌교수
    2008. 08.~2010. 05.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장
    2008. 05.~2012. 05. 제18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2007. 12.~2008. 02.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통일안보분과위원회 간사
    2007. 09.~2008. 06. 한나라당 국제위원회 위원장
    2004. 07.~2005. 02. 한나라당 국제위원회 위원장
    2004. 05.~2008. 05. 제17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2004 ~2017 한영협회 회장
    2002. 08.~2004. 05.제16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1999. 03.~2002. 02.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1996. 07.~1998. 03.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1993. 05.~1996. 07.대통령비서실 공보비서관
    1990 ~1993영국 뉴캐슬대 정치학과 조교수
    1989 ~1990영국 킹스칼리지런던 방문연구원
    1987. 10.~1988. 09.일본 도쿄대 대학원 외국인연구생
    1977. 11.~1978. 03.외무부 근무 (77.9 외무고시 제11회)

  • 수상

    홍조근정훈장 (1998년)
    백봉신사상 (총 6회 / 2002년, 2003년 대상, 2004년, 2006년, 2008년, 2020년)
    영국 왕실훈장 ‘대영제국 지휘관 훈장(CBE)’ (2013년)

정부서비스

기관소식

  • 다자외교조정관, 유엔 난민 부최고대표 면담   권기환 다자외교조정관은 11.28.(화) 오전 방한 중인 「켈리 클레멘츠 (Kelly Clements) 」유엔 난민 부최고대표(Deputy High Commissioner)와 면담을 갖고 세계 난민 동향, 한-유엔난민기구(UNHCR)간 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권 조정관은 전 세계적으로 전쟁과 박해로 인해 심화되는 글로벌 난민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UNHCR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리더십을 발휘하여 국제 난민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권 조정관은 우리 정부가 2024-25년 임기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여성·평화·안보(WPS) 의제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하고, 향후 동 의제에 대해서도 UNHCR과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클레멘츠 부최고대표는 UNHCR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에 사의를 표하였다. 더불어 다음달 개최 예정인 「제2차 글로벌 난민 포럼*」이 난민 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단합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인 만큼, 한국 정부도 UNHCR의 주요 공여국이자 글로벌 리더 국가로서 의미있는 기여를 공약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 난민 문제의 지속가능한 해결을 위한 「난민 글로벌 컴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 채택(‘18.12월, 유엔총회) 이후 4년 주기로 개최되는 후속회의로서 정부대표, 국제기구, 시민단체 등 참석 (‘23.12.13-15, 스위스 제네바 개최 예정)   양측은 현재 세계 각지에서 지속되고 있는 난민·피난민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붙임 : 면담 사진. 끝.담당 부서국제기구국책임자과장황현이(02-2100-7264)인권사회과담당자사무관김용기(02-2100-7263)첨부파일1다자외교조정관 UNHCR 부최고대표 면담 사진.jpg첨부파일2[23-1151](보도자료)_난민.피난민 보호 등 다양한 이슈에서 유엔난민기구와 전략적 협력 의지 확인.hwpx첨부파일3[23-1151](보도자료)_난민.피난민 보호 등 다양한 이슈에서 유엔난민기구와 전략적 협력 의지 확인.pdf
  • 제16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 수료식 개최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11.28.(화) 국립외교원에서 「제16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 수료식을 개최하였다.   ㅇ 중앙부처·헌법기관·지방자치단체 국(과)장급 공무원 41명과 공공기관 고위간부 4명 등 교육생 45명은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44주 동안의 교육과정을 수료하였다. - 우수교육생 시상에서는 종합성적 1위에 해당하는 국무총리상은 제동환(외교부), 외교부장관상은 심정희(국회사무처), 하정수(헌법재판소)가 수상하였으며, 최우수 정책보고서상은 고동우(고용노동부)와 제동환(외교부)이 수상하였다.  글로벌리더십 과정 교육생들은 교육 기간 동안 우리 외교 환경을 둘러싼 국제정세를 이해하고 세계 주요 지역의 외교적 현안에 관해 탐구하는 등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글로벌 리더로서의 역량을 함양하였다.   ㅇ 아울러, 우리 정부의 글로벌 중추 국가를 향한 외교정책을 학습하고, 팀학습 연구발표 등 토론 중심의 참여 교육을 통해 범정부적 차원의 외교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부처간 협업 기반을 마련하였다.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축사를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의 일원으로 국제사회에서 활약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국제 업무에 대한 이해가 필수불가결하다”며, “글로벌리더십 과정 교육내용이 소속 기관에 복귀하여 정책 수립과 결정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ㅇ 박형배 교육생 자치회장은 답사에서 “다양한 부처와 기관에서 파견된 공직자들이 글로벌리더십 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역량을 기를 수 있었으며, 각자의 현업에 복귀하여 교육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였다.  앞으로도 국립외교원은 교육생 중심의 다양한 자율․참여형 학습 활동을 확대하여 기관 간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정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정핵심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첨부 : 제16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 수료식 사진.  끝.담당 부서국립외교원 교수부책임자과  장송재우(02-3497-7723)직무연수과담당자사무관태재석(02-3497-7727)첨부파일1제16기 글로벌리더십과정 수료식 축사(박철희 국립외교원장)_2.jpeg첨부파일2[23-1150](보도자료) 제16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 수료식.hwpx첨부파일3[23-1150](보도자료) 제16기 글로벌리더십 국제관계 장기연수과정 수료식.pdf첨부파일4제16기 글로벌리더십과정 수료식 단체사진.jpeg첨부파일5제16기 글로벌리더십과정 수료식 답사(박형배 자치회장).jpeg첨부파일6제16기 글로벌리더십과정 수료식 축사(박철희 국립외교원장)_1.jpeg

소속기관 (2)

모바일 앱 (1)